오늘은 윤석열 검찰총장의 군면제로 유명해진 부동시에 관하여 알아볼까 합니다. 윤석열은 1982년 8월 병역검사에서 부동시 판정으로 병역을 면제(전시근로역 처분)받았습니다. 과거에는 부동시를 이유로 한 병역면제가 가능했지만, 요즘 병무청 규정으로는 양쪽 눈 굴절도가 5디옵터 이상 차이가 나면 신체등급 4급으로 분류돼 사회복무요원에 편입되게 됩니다. 청문회에서 병역면제 자료요구로 인하여 2019년 안과 진단 결과, 우안부동시성 약시라는 소견이 나왔습니다. 부동시성 약시는 부동시 때문에 시력 기능이 저하된 상태를 말합니다. 그런데, 진단서에는 “굴절력은 연령에 따라 조절력 및 수정체 상태 등 영향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현재의 부동시 양은 과거 혹은 향후 부동시 정도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될 수 없다”고 기재돼..
1.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사태 개요 2019년 12월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집단발병한 폐렴에서 발견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2019-nCoV)의 감염증으로 발병지인 우한시의 이름을 따서 우한 폐렴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2019년 12월 12일경 우한시 화난수산시장 근로자에게 이날 최초 감염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동물 및 사람에게 전파될 수 있는 바이러스로, 그중 사람에게 전파가능한 사람 코로나바이러스는 현재 6종이 알려져 있습니다. 이중 4종은 감기와 같은 질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이며, 나머지 2종은 각각 MERS 코로나 바이러스와 SARS 코로나 바이러스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번 중국 우한시 폐렴을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사람에게 전파된다고 알려졌으며, 현재 ..
명치 부분에 튀어나온 덩어리, 종기 같은 것이 만져지는 느낌을 받으신 적이 있나요? 더불어 통증까지 간헐적으로 느낀다면 공포감이 몰려옵니다. 그런데 통증에 관하여는 최근에 윗몸일으키기라던가 복근을 자극할 만한 운동을 한적이 있는지부터 먼저 생각해 봐야 합니다. 간헐적 명치부근의 통증은 평소 안쓰던 복근운동의 결과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명치부분을 무심코 만지다 덩어리같은 물체가 생긴것 같이 느껴지실 수 있는데, 이는 원래부터 있어왔고 모든 사람이 다 가지고 있는 골격계의 한 부분입니다. 즉, 명치부분에 만져지는 덩어리는 불안해 할 필요가 전혀 없는 검상(劍狀:검의 형상, Xiphisternum)돌기라는 인체 고유의 기관으로 태어날 때는 연골이었던 부분이 성장과정을 거치면서 경질화된 부분입니다. 아래의 그림..
인플루엔자는 흔히 독감이라고 불리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호흡기 질환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겨울철에서 이른 봄까지 유행하며, 건강한 성인에서는 대부분 후유증 없이 저절로 회복되지만 결근 등 업무 차질을 일으키고, 65세 이상 노인, 만성질환자, 영유아, 임산부 등 고위험군에서는 합병증이 발생하거나 사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항원소변이나 항원대변이를 일으켜 매년 유행하거나 10~40년 주기로 전 세계적인 대유행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이므로 다른 종류의 바이러스에 의한 감기에는 효과가 없습니다. 또한,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 건강한 젊은 사람에서는 약 70~90%의 예방효과가 있으며,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우리나라의 태극기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882년 고종 19년때부터 이며, 고종은 이 태극기의 원형을 왕명으로 1883년 정식으로 공포하게 되면서부터입니다. 현재에는 2007년 제정된 대한민국국기법 및 대한민국국기법시행령에서 상세하게 태극기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국기인 태극기는 흰색 바탕에 가운데 태극 문양과 네 모서리의 건곤감리(乾坤坎離)의 4괘(四卦)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태극기의 흰색 바탕은 밝음과 순수, 그리고 전통적으로 평화를 사랑하는 우리의 민족성을 나타냅니다. 가운데의 태극 문양은 음(파랑)과 양(빨강)의 조화를 상징하는 것으로 우주 만물이 음양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생성하고 발전한다는 대자연의 진리를 형상화한 것입니다. 네 모서리의 4괘는 음과 양이 서로 변화하고 발전하는 ..
농촌에서 시행되고 있는 공익직불제란 농업활동을 통해 환경보전, 농촌 공동체 유지, 식품안전등 공익기능을 증진하도록 농업인에게 정부에서 보조금을 지급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기존의 쌀, 밭농업, 조건불리 직불금이 통합되어 소농직불금이나 면적직불금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경관보전 및 친환경직불 등은 그대로 유지되어 선택에 따라서 직불금을 더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개편을 진행하기 위해 정부의 올해 직불예산이 대폭 증가하였습니다. 2019년에 비해 1조원이 더 늘어난 엄청난 증가 수치입니다. 아래에서는 2020년 새해에 실시되는 농촌지역의 공익질불제에 관하여 좀더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소규모 농가에게 면적에 관계없이 일정금액 지급 소규모 농가의 기준은 경지면적, 영농종사기간, 농촌 거주기간..
1896년 육군 징벌령에 의거해 처음 실시되어 현재까지 이어왔던 12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진 영창제도가 올해 폐지되었습니다. 지휘관의 징계수단중 가장 강력하면서도 병사들에게는 공포스러웠던 영창제도가 드디어 폐지되었는데, 그동안 꾸준히 인권문제가 제기되었고, 간부를 제외하고 병사에게만 이루어지는 영장제도는 헌법상의 평등주의에 반하며, 지휘관의 명령만으로 실시되는 구조를 가진 영장제도는 헌법상의 영장주의에 반하는 제도라는 지적이 있어왔기 때문입니다. 영창제도는 폐지되더라도 군기교육이나 감봉, 견책 등이 그대로 존재하기 때문에 병사들에 대한 징벌적 효과나 통제 효과는 크게 낮아지지는 않을 듯 합니다. 더군다나 올해 병장 월급은 전년도 대비 33%인상된 54만900원인 상황에서 영창제도를 제외한 다른 통제수단들..
정부는 2019년 12월 19일 2020년의 경제정책 방향에 대하여 발표하였습니다. 주요한 내용으로는 민간 및 공공부분에서의 정부투자 확대, 민간부문에 대한 투자확대, 해외에서의 유턴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 국내 소비 및 관광 등 내수진작에 대한 투자확대, 한류 및 관광산업에 대한 투자, 수출중점기업들에 대한 지원 확대, 지방투자 등의 균형발전 지원, 소재 부품산 장비산업에 대한 지원, 40대 맞춤형 고용대책 등에 역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내년도 경제성장률을 금년보다 개선된 2.4%로, 신규취업자수 증가는 25만명 수준을 목표로 한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발표문 전문을 인용 수록합니다. 존경하는 국민여러분 오늘 저희 경제팀은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내년도 경제정책방향」에 대..
1. 소아비만은 질병인가?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비만을 질병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소아비만의 유병률 역시 최근 급증하고 있습니다. 조사에 의하면 동일한 시기에 우리나라 소아에서 남자아동의 비만율이 같은 또래의 미국 아동보다도 더 높은 수준으로 나와 충격적입니다. 소아비만에 요주의가 필요한 이유는 소아비만은 성인비만으로 이어지며 여러 신체적, 정신적 합병증을 동반하고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등의 만성 질환이 일찍 나타나며 더 심하게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소아 청소년의 과체중과 비만을 예방하고 비만을 조기에 진단하여 합병증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만은 인간 수명을 단축시키는 질환인데, 성인들의 전유물이라 생각되던 대사증후군이 최근 소아비만이 급증함에 따라..
1. 신우신염이란 신우신염은 콩팥(kidneys)이 세균감염(주로 항문에 의해 감염된 대장균류)에 의해 염증이 생긴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다른 말로 신우염이라고도 합니다. 신장이나 신우 등의 상부 요로계(신장에서 요도까지)의 감염을 신우신염이라 하며, 방광이나 요로의 감염은 하부 요로계 감염이라고 말합니다. 신우는 콩팥인 신장에서 생성된 소변을 모아 수뇨관으로 보내는 역할을 하는 깔대기 모양을 한 기관으로 콩팥깔때기(renal pelvis)라고도 불리웁니다. 상부 요로계의 세균감염인 신우신염은 급성과 만성으로 나눌 수 있으며, 급성 신우신염은 단기간에 발생한 갑작스러운 염증을 의미하고, 만성신우신염은 결석 등으로 요로가 막혀 있거나 소변이 방광에서 신우와 신장으로 역류하는 선천적인 이상 등이 있는 경우..
1. 당이란 무엇인가요?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영양소인 탄수화물중 작은 분자로 이루어진 단순당인 단당류와 이당류를 아울러 당이라고 칭합니다. 단맛이 나는 물질로 과일과 같은 자연속의 식품중에도 존재하며, 가공중에 첨가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1g의 당은 약 4Kcal의 열량을 냅니다. 2. 당의 1일 섭취 권장량은 어느 정도의 양인가요? - WHO의 1일 섭취 권장량은 총 열량의 10%이내로 약 2,000Kcal 섭취시 1일당 섭취 권장량은 50g이내 입니다. - 한국인의 평균 섭취량은 하루 평균 65.3g으로 WHO권장량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2011년도의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값이므로 현재에는 더 높아져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3. 당을 많이 섭취하게 되면 어떻게 되나요? - 치아에 ..
겨울철에 가장 중요한 건강관리 비법이라고 따로 말할 만한 것으로는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하고 독감 예방법을 숙지 및 지키는 것과 날이 추워졌다고 하더라도 깨끗한 공기와 비타민D 흡수를 위한 햇볕이 있는 야외에서의 꾸준한 운동, 그리고 충분한 휴식과 건강한 식습관을 지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 겨울철 건강관리의 기본 수칙들 - 적당한 실내온도 유지 겨출철에는 실내온도를 22~24도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적당한 실내습도 유지 건조한 겨울철에는 습도를 유지하는 것에 특히 신경써야 하는데요, 가습기나 실내에 젖은 수건을 넌다거나 하여 실내가 건조해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 창문열고 맑은 공기로 환기 시키기 겨울철에는 춥다고 환기에 소흘해질 수 있는 데, 아무리 춥다고 하더라도 최소한..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