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부터 말하면 며칠이 맞는 말입니다. 국립 국어원에서는 이 문제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습니다. 한글 맞춤법 제27 항 [붙임 2]에서 "어원이 분명하지 아니한 것은 원형을 밝히어 적지 아니한다."라고 밝히고 있으며 이에 대한 용례로 '며칠'을 보이고 있습니다. ‘며칠’은 ‘몇 년 몇 월 몇 일’처럼 ‘몇’이 공통되는 것으로 인식하여 ‘몇 일’로 쓰는 일이 많으나 ‘몇 일’이라고 하면 [며딜]로 소리가 나야 합니다. 그러나 그 실제 발음은 [며칠]이라서 ‘몇일’로 적으면 표준어 [며칠]을 나타낼 수 없습니다. 따라서 ‘몇’과 ‘일’의 결합으로 보지 않고 소리 나는 대로 ‘며칠’로 적습니다. 1988년 맞춤법 개정 이전에는 '몇일'과 '며칠'을 구분해 사용했으나 새 맞춤법은 '어원이 분명하지 않..
결론부터 말하자면 됬다라는 한글은 존재하지 않으며, 한국어 어문 규범에 의하면 ‘ㅚ’ 뒤에 ‘-어, -었-’이 어울려 'ㅙ' 등으로 될 적에도 준 대로 적으므로 풀이해서 '되어'같은 말이 되는 것이 자연스러운 경우에는 '돼'라고 준대로 적어야 합니다. 동사로 끝날 경우에는 무조건 됐다가 맞는 말이므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에서 다시 언급하겠지만 '되'는 어간으로만 쓰이므로 단독으로 문장을 끝마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 됬다 : 존재하지 않는 한글로 사용하면 안 된다. - 됐다 : 올바른 한글이다. 문장의 중간에 오는 되어와 돼어, 된과 됀 등의 구별은 아래와 같습니다. 국립국어원에 의하면 표준어 '되다'의 활용형은 '됀'이 될 수 없고, 어간 '되-' 뒤에 어미 '-ㄴ'이 붙은..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올바른'이 맞는 말입니다. '옳바르다'는 형용사인 '올바르다'의 비표준어에 해당하는 말입니다. 구체적으로 '옳바른'은 표준어가 아닌 북한의 평양말로 쓰이는 말입니다. 따라서, 한국의 표준어로는 '올바른'이 맞는 표준어 표기법입니다. 이 문제에 대한 국립국어원의 답변은 아래와 같습니다. '올바르다'가 바른 표기입니다. 한글 맞춤법 제27항 [붙임 2]에 따르면 어원이 분명하지 아니한 것은 원형을 밝히어 적지 않는데, '말이나 생각, 행동 따위가 이치나 규범에서 벗어남이 없이 옳고 바르다'의 뜻을 나타내는 형용사는 그 어원이 분명하지 않으므로 원형을 밝히어 적지 않고 소리대로 '올바르다'로 적습니다. 또 다른 답변에서는 아래와 같이 답변하고 있습니다. '옳바르다'는 표준어가 아닙니다...
갯수와 개수중 어떤 것이 옳은 말인지는 네이버 사전에서 정의하는 갯수에 대한 의미를 살펴보면 짐작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사전에서는 비교적 더 많이 쓰이는 갯수에 관하여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갯수 [명사] '개수(個數)'의 비표준어. 즉, 갯수는 표준어가 아니며 하나, 둘, 셋 등의 수량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올바른 말은 개수(個數 ; 낱개의 숫자)가 옳바른 표준어 표현인 것입니다. 한글 맞춤법 규정 4장 4절 30항에서는 두음절이면서 사이시옷 받침을 적어야 하는 단어는 아래의 6가지에 한정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문제를 출제하는 경우에 이러한 틀린 문장이 자주 들어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아래의 ..
의학 드라마나 영화에서 종종 코드 블루니 코드 레드니 하는 장면이나 교수가 레지던트들에게 처방을 주면서 영어로 말하고 있는 건지 한국어로 말하고 있는 건지 구분이 안되는 장면이 나오곤 합니다. 보수적이며 전문 용어를 많이 쓰는 법조계보다 더 심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의학 용어에 대하여 까막눈이 아니고 까막귀(?)인 제 자신에게 도움을 주고자 이 포스팅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아래에서는 자모순에 상관없이 의학 용어에 대한 해설을 서술합니다. - 코드 블루(Code Blue) : 환자가 가장 위험한 경우로 환자의 심정지로 인해 심폐소생술(CPR)이 필요한 경우를 의미합니다. 담당 간호사 또는 의사들을 모두 해당 환자에게 호출하는 의미를 가지지만 코드 블루 발령시의 생존율은 40%이하로 알려져 ..
오늘은 우리글의 마침표에 관하여 확실히 알고 넘어가고자 합니다. 블로그를 쓰는 저도 자주 인용문을 사용하곤 하는데 그 큰따옴표 안의 문장이 끝날 때 마침표를 찍어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가 항상 의문으로 남아 있었습니다. 귀차니즘 때문에 올바른 사용법도 모른 채로 어떤 날은 마침표를 쓰고, 어떤 날은 마침표를 안 쓰고 했습니다. 국립국어원의 한국어 어문 규범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마침표는 평서문, 청유문, 명령문에서 끝부분에 쓰이며 마침표를 찍는 것이 원칙입니다. 아래에서 좀더 상세한 사용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인용문 직접 인용한 문장의 경우 마침표를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쓰지 않아도 무방합니다. 큰따옴표(쌍따옴표) 뿐만 아니라 작은따옴표의 경우에도 이 원칙은 동일합니다. - 나는 그녀에게 ..
인력사무소에 처음 나갔을 때 대마라는 말을 처음 들었을 때 기억이 문득 났습니다. 노인들끼리 주고받던 말인데 "오늘 대마네"라는 말을 처음 들었을 때 대체 저게 뭔 말인가 생각했습니다. 大馬라는 말인가? 큰 말이라고? 먼저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대마라는 말에는 여러 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1. 대마(大麻) 네 바로 그 환각제로 쓰이는 대마를 말합니다. 사전에서는 아래와 같이 말하고 있습니다. 삼과의 한해살이풀로 높이는 온대에서 3미터, 열대에서는 6미터 정도 자라며, 잎은 5~9갈래로 갈라진 장상 복엽으로 열편은 피침 모양이다. 암수딴그루로 7~8월에 꽃이 피고 열매는 공 모양이다. 종자는 식용ㆍ약용하거나 사료로 쓰고 줄기의 껍질은 섬유의 원료로 쓰이는데 줄기에서 나오는 진에는 마취 물질이 들어 있다. ..
국립국어원 고시 다듬은 우리말 '순화 및 표준어 대상어' 422개 중 열한 번째 포스팅으로 361번째부터 마지막인 422번째까지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다듬은 우리말 시리즈의 마지막으로 총 62개의 단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까지 공부를 마치면 우리말 순화어 실력과 일반적인 상식 실력이 조금은 높아질 거라고 생각합니다. 자, 마지막 포스팅 힘을 내서 살펴보기로 해요. 361. 펀칭/ 펀칭하다 → 쳐내기, 쳐내다 축구에서 골키퍼가 공을 주먹으로 쳐내는 일. 2014년 발표 362. 페이백 → 보상 환급 사용한 금액에서 일정 금액을 되돌려 주는 것. 2015년 발표 363. 펜트하우스 → 하늘채 고층 건물의 맨 위층에 자리한 고급 아파트나 값비싼 주거공간. 2006. (이하 설명을 가급적 단순화..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