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국어원 고시 다듬은 우리말 '순화 및 표준어 대상어' 422개 중 여섯 번째 포스팅으로 151번째부터 180번째까지입니다. 무심코 써왔던 외래어, 외국어들이 이렇게나 많은 줄은 저도 이 글들을 쓰면서 알게 됐습니다. 부디 방송이나 언론에 종사하시는 분들이 무의식적으로 쓰고 있는 단어들을 바로 잡아줬으면 좋겠습니다. 다음은 우리말들을 배우는 과정에서 일반 상식까지 많이 알게 되는 것은 보너스로 얻는 결과물입니다. 151. 샹그릴라 → 꿈의 낙원 신비롭고 아름다운 이상향을 비유적으로 가리켜 이르는 말로 인간이 바라는 희망이나 이상이 모두 실현되어 있어 편안하고 즐겁게 살 수 있는 곳을 가리켜 이르는 말을 뜻하며 2008년 발표 152. 선루프 → 지붕창 빛이나 공기가 들어올 수 있는 승용차의 지붕부분을 ..
국립국어원 고시 다듬은 우리말 '순화 및 표준어 대상어' 422개 중 다섯 번째 포스팅으로 121번째부터 150번째까지입니다. 121. 베이스캠프 → 주훈련장, 근거지 운동의 경우에는 주 훈련장, 등산의 경우에는 근거지 캠프의 개념으로 2014년 발표 122. 벤치 클리어링 → 몸싸움, 집단 몸싸움, 선수단 몸싸움 야구나 아이스하기 등의 스포츠 경기 도중 선수들 사이에 싸움이 벌어졌을 때, 양 팀 선수들이 모두 벤치를 비우고 싸움에 동참하는 행동을 말하며 2014년 발표 123. 벤치마킹 → 본따르기 경쟁업체의 경영방식을 분석하여 자사에 응용하는 방식으로 2012년 발표 124. 보드마커 → 칠판 펜 흰 칠판에 필기하는 도구로 2013년 확정 발표 125. 보이스 피싱 → 사기 전화 2013년 문화부 고..
국립국어원 고시 다듬은 우리말 '순화 및 표준어 대상어' 422개 중 네 번째 포스팅으로 91번째부터 120번째까지입니다. 91. 머스트 해브 → 필수품 필수로 가져야 할 물건이나 제품을 가리키는 말로 2013년 확정 발표 92. 멀티탭 → 모둠 꽂이 여러 개의 플러그를 꼽을 수 있는 이동식 콘센트로 2010년 발표 93. 메디텔 → 의료관광호텔 의료 관광용 숙박시설로 2014년 발표 94. 메세나 → 문예 후원 특별한 대가를 바라지 않고 문화예술 활동을 지원하는 개인이나 기업을 말하며 2006년 발표 95. 메신저 → 쪽지창 실시간 문자, 자료 전송 프로그램을 말하며 2005년 발표 96. 메이커 스페이스 → 열린 제작실 3D 모델 파일과 다양한 재료들로 소비자가 원하는 사물을 즉석에서 만들어 낼 수 ..
국립국어원 고시 다듬은 우리말 422개 중 세 번째 포스팅으로 61번째부터 90번째까지입니다. 61. 로고송 → 상징노래 2005년 발표 62. 로드쇼 → 투자설명회 유가증권 발행회사가 투자자들을 상대로 벌이는 설명회로 2017년 발표 63. 로드매니저 → 수행 매니저 연예인 등의 매니저로 2013년 발표 64. 로드무비 → 여정 영화 주인공이 여행을 통해 인간관계의 새로운 계기를 마련하거나 자신의 정체성을 바로 세우게 되는 과정을 그린 영화로 2006년 발표 65. 로드뷰 → 거리 보기 지도제작으로 만들어진 지도를 웹에서 3차원으로 보는 지도 서비스로 2016년 발표 66. 로드킬 → 동물 찻길 사고, 동물 교통사고 자동차 도로에서 동물이 자동차에 당하는 교통사고로 2007년 발표 67. 로하스 → 친..
국립국어원에 의해 2004년부터 2019년 말까지 총 422개의 단어가 순화 및 표준어화 지정 고시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표준화어, 우리말 순화어를 알아보는 그 두 번째입니다. 31. 데모데이 → 시연회 발표 예정인 날 이전에 먼저 진행하는 행사를 말하며 2016년 발표 32. 데카르트 마케팅 → 예술 감각 상품 기술(tech)과 예술(art)이 합쳐진 말로 2008년 발표 33. 도로표지병 → 길 반짝이 도로의 노면 위에 설치된 야간이나 악천후를 대비한 조그만 반사판이 달린 소형 도로 시설물로 2014년 발표 34. 드라이 에이징 → 건식 숙성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거꾸로 매달아 숙성시키는 방식으로 2017년 발표 35. 드라이브 → 몰아가기 뉴스에서 가끔 나왔던 말로 어느 한 방향으로 무리하게 힘..
2004년 이후 국립국어원에서 우리말 순화 대상 단어를 공모한 뒤 추천받은 단어들 중 선정된 단어로 정부 고시 등의 방법으로 확정된 순화된 우리말을 소개할까 합니다. 2004년부터 2019년 말까지 총 422개의 단어가 순화 및 표준어화 되었으며 가능하면 모두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국립국어원 및 정부고시에 의해 표준어화로 발표 및 지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몇몇 단어들은 순화 및 표준화어의 홍보 부족 때문인 지는 몰라도 여전히 쓰이고 있는 단어들이 많음에 조금이라도 더 알리고 싶어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국립국어원에서 표준화시킨 우리말도 알아보고 그 뜻도 알게되는, 일반상식이 풍부해지는 도랑치고 가재잡는 연재 포스팅입니다. 그 첫번째 포스팅입니다. 1. 게이트 → 의혹 사건 비리 의혹이라는 뜻으..
갯수와 개수 숫자를 셀때 우리는 주로 갯수라는 말을 씁니다. 수학분야에서 특히 많이 쓰이는 데요, 예를 들자면 "사과가 20개 있습니다. 이중에서 10개를 먹었다면 남은 사과의 갯수는 몇개일까요?" 과연 갯수가 맞는 말일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개수가 맞습니다. 최대값과 최소값에 있어서는 최댓값과 최솟값이 맞습니다. 아래에서는 어떤 법칙때문에 이러한 차이가 존재하는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이시옷을 받쳐 적으려면 아래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켜야 합니다. 1. 사이시옷이 들어가는 경우 사이시옷이 들어가려면 합성어이면서 다음과 같은 음운론적 현상이 나타나야 합니다. ①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경우 바다+가→[바다까]→바닷가 개+수→[개쑤 ②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경..
온라인 전입신고는 공인인증서만 있으면 스마트폰 앱, 인터넷 ‘정부24’를 통해 가능합니다. 주민이 거주지를 이동하면 전입한 날부터 14일 이내에 전입신고를 해야 하며, 전입신고는 전입신고서를 작성한 뒤 주소지 관할 읍․면사무소 또는 동주민센터를 방문해 신청하거나 온라인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특히 온라인 전입신고는 공인인증서만 있으면 주민센터를 방문하지 않고도 인터넷에 연결된 PC, 태블릿 및 스마트폰을 통해 손쉽게 전입신고를 할 수 있는 제도로 인터넷을 통한 전입신고는 ‘정부 24’에서, 스마트폰을 통한 전입신고는 ‘정부 24’ 앱을 설치하면 가능합니다. 은행에서 발급받은 공인인증서를 등록해 로그인한 뒤 전입신고를 신청하면 되며, 처리결과 또한 스마트폰이나 인터넷으로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