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트나 약국에 가면 치약처럼 짜는 겔 형태의 바퀴벌레, 개미 잡는 약이 있습니다. 일단 이걸 한 통 구입해야 합니다. 뿌리는 거보단 가격이 좀 셉니다. 하지만 결국 뿌리는 거로 나가는 것보다 훨씬 경제적이게 됩니다. 사실 때 일회용이 아닌 뚜껑을 닫으면 나중에 또 사용할 수 있는 걸로 사세요. 집에 있는 게 너무 오래 써서 상태가 안 좋은 지라 온라인에서 이미지를 가져왔습니다. 대략 저런 형태로 생긴 짜서 쓰는 젤 타입을 구입하시면 됩니다. 구입하실 때 가능하면 벌레 유인 냄새가 강하다고 강조된 제품을 사는 것이 좋습니다. 그다음 마분지나 과자 상자 정도의 두께와 강도를 가진 큰 종이나 박스를 구해 옵니다. 대략 20개에서 30개, 가로세로 2~3cm 안팎의 정사각형으로 가위를 이용해 잘라줍니다. 대략 ..
몇 달에 한 번꼴로 우리 집에서 잡히는 거미는 형태가 항상 똑같아서 알아본 결과 이름이 집 유령거미로 밝혀졌습니다. 집 유령거미라고 불리는 놈인데 학명은 Pholcus phalangioides로 거미목 유령거미과 유령거미속에 속합니다. 보통 집이나 학교 또는 욕실 구성 등의 어두운 곳에서 주로 발견되는 거미입니다. 몸 길이는 5~10mm 정도로 작지만, 다리 길이는 최대 20mm로 다리가 훨씬 더 깁니다. 성체는 노란색에서 갈색을 띠며, 머리가슴 부분은 평평하고, 배는 긴 달걀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다리는 8개이면 앞의 두다리는 더듬이 겸용 다리로 사용되며 수컷보다 암컷이 더 체구가 큰 데 암컷의 경우에는 이 더듬이용 앞다리 두 개를 알을 가지고 다니는 용도로도 사용한다고 합니다. 대략 알집 하나에 1..
코로나 이후 발급된 쿠폰을 소중하게 사용했습니다. 그런데 잔액이 궁금합니다. 그동안 많이 쓴 것 같아 마트에서 결제할 때 잔고 없는데요 할까 봐 불안합니다. 인천 e음카드(kona card, 코나 카드) 잔액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아래의 사이트로 갑니다. 그림을 눌러 주세요. 아래는 입력 양식인데 비회원에 한하여 잔액 조회가 가능하며, 코나카드 및 지역화폐 카드의 회원인 경우에는 앱 또는 전용 웹사이트에서만 가능하다고 하네요. 회원이란 건 아마도 은행을 통해서 발급받은 경우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저는 비회원이라 양식에 맞게 기입했습니다. 아래의 그림에서 붉은색으로 옅게 표시된 3군데에 입력해야 하는 데 두 번째 유효기간 입력할 때는 슬러쉬 입력하지 마시고 그냥 숫자 연달아 4개 쓰셔야 합니다. 다 입력하고..
국립국어원 고시 다듬은 우리말 '순화 및 표준어 대상어' 422개 중 열한 번째 포스팅으로 361번째부터 마지막인 422번째까지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다듬은 우리말 시리즈의 마지막으로 총 62개의 단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까지 공부를 마치면 우리말 순화어 실력과 일반적인 상식 실력이 조금은 높아질 거라고 생각합니다. 자, 마지막 포스팅 힘을 내서 살펴보기로 해요. 361. 펀칭/ 펀칭하다 → 쳐내기, 쳐내다 축구에서 골키퍼가 공을 주먹으로 쳐내는 일. 2014년 발표 362. 페이백 → 보상 환급 사용한 금액에서 일정 금액을 되돌려 주는 것. 2015년 발표 363. 펜트하우스 → 하늘채 고층 건물의 맨 위층에 자리한 고급 아파트나 값비싼 주거공간. 2006. (이하 설명을 가급적 단순화..
우리말 순화어, 표준화어 10번째 포스팅입니다. 국립국어원 고시 다듬은 우리말 '순화 및 표준어 대상어' 422개 중 열 번째 포스팅으로 311번째부터 360번째까지입니다. 그럼 50개 단어 출발해 봅시다. 311. 큐레이션 서비스 → (정보) 추천 서비스 개인의 취향을 분석해 적절한 콘텐츠를 추천해 주는 서비스를 말하며 2015년 발표 312. QR코드 → 정보무늬 네모 모양 바코드를 의미하며 2011 발표 313. 크라우드펀딩 → 대중 투자 소셜미디어나 인터넷 등의 매체를 활용해 자금을 모으는 투자 방식을 말하며 2013년 발표 314. 크래프트 맥주 → 수제 맥주 대기업이 아닌 개인이나 소규모 양조장이 자체 개발한 제조법에 따라 만든 맥주를 말하며 2017년 발표 315. 크레이들 → 다목적 꽃이 ..
우리말 순화어, 표준화어 9번째 포스팅입니다. 국립국어원 고시 다듬은 우리말 '순화 및 표준어 대상어' 422개 중 아홉 번째 포스팅으로 261번째부터 310번째까지입니다. 그럼 50개 단어 달려 봅시다. 261. 웨딩 플래너 → 결혼 설계사 Wedding과 Planner의 합성어로 예비 신랑 신부의 일정 관리와 절차, 예산 등을 기획하고 대행해주는 사람을 말하며 2013년 발표 262. 웨트 에이징 → 습식 숙성 진공포장을 통해 수분 증발을 차단하여 촉촉한 상태로 숙성시키는 방식을 말하며 2017년 발표 263. 웰빙 → 참살이 몸과 마음의 건강함, 행복을 추구하며 유기 농산물과 적당한 운동, 가정 음식을 즐기는 특징을 보이는 생활방식을 말하며 2004년 발표 264. 웹서핑 → 인터넷 검색, 웹 검색..
국립국어원 고시 다듬은 우리말 '순화 및 표준어 대상어' 422개 중 여덟 번째 포스팅으로 211번째부터 260번째까지입니다. 이전까지 30개씩 다루던 것을 페이지가 너무 많아지는 것 같아서 50개씩으로 하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도 이전 포스팅들과 마찬가지로 상식 용어도 배우고 표준어화된 우리말도 배워 보기로 해요. 211. 어메니티 → 편의 물품 어메니티(amenity)란 숙박시설의 투숙객 또는 항공기의 이용객을 위하여 비치해 놓은 각종 물품을 말하며 2016년 발표 212. 어뷰징 → 조회수 조작 포털의 클릭수를 조작하는 행위를 말하며 2016년 발표 213. 언더독(효과) → 약자(효과) 사람들이 약자라고 믿는 주체를 응원하게 되는 현상을 말하며 2018년 발표 214. 언더패스 → 아래차로 ..
국립국어원 고시 다듬은 우리말 '순화 및 표준어 대상어' 422개 중 일곱 번째 포스팅으로 181번째부터 210번째까지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도 이전 포스팅들과 마찬가지로 상식 용어도 배우고 표준어화된 우리말도 배우고 가재 잡고 도랑 쳐 볼까 합니다. 181. 스크립터 → 촬영기록자, 구성작가 영화나 드라마의 촬영현장에서 촬영 상황을 기록하는 사람을 말하며 2013년 발표 182. 스타일리스트 → 맵시가꿈이 옷이나 실내장식 따위와 관련된 일에 조언을 하거나 지도하는 사람을 일컬으며 2013년 확정 발표 183. 스타트업 → 새싹기업 혁신적 기술과 아이디어를 보유한 설립 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창업기업을 말하며 2013년 발표 184. 스탠더드 넘버 → 대중 명곡 시대에 관계없이 오랫동안 늘 연주되고 사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