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름병인 대상포진의 주요 증상 및 예방

여름병인 대상포진의 주요 증상 및 예방

1. 대상포진의 특징

대상 포진은 몸의 한쪽 편에만 주로 통증과 수포가 발생하며, 발생 부위에 따라 다양한 합병증을 일으킵니다.

치료는 항 바이러스제를 사용하게 되며, 증상은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데 척추를 중심으로 한쪽으로만 작은 물집이 생기는 특징을 보입니다.

 

 

Varicella-zoster virus라고 불리는 대상포진 바이러스는 어릴 때 수두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와 동일한 것이며, 어릴 적 수두가 치료된 이후에도 사멸되지 않고 척수 속에 잠복해 있다 오랜 세월이 지난 후 우리의 몸이 약해지거나 면역력이 떨어져 있을 때 다시 활성화되어 대상포진을 일으키는 기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때, 대상포진 바이러스는 척추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퍼져있는 신경망중 한쪽만을 선택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로 인해 대상포진에 걸리게 되면 몸의 한쪽만 통증과 수포가 가 일어나게 됩니다. 또한, 신경망 중에서도 주로 운동신경의 감각신경에 침범하게 됩니다.

 

2. 대상포진의 주요 증상

대상포진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조증상

본격적인 발진이 나타나기 수일 전부터 가려움증, 따끔거림, 화끈거림 또는 심한 통증이 올 수 있습니다. 지속적이거나 또는 간헐적으로 압통과 이상 감각 현상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 극심한 통증

이 통증을 비유하는 사람들은 마취없이 수술하는 정도의 통증이라고 말할 정도로 그 통증이 극심합니다. 따라서 집에서 자가 치료하려는 시도는 절대 금물이며 이상 증세가 느껴지면 즉시 피부과 등의 병원을 방문하여야 합니다.

 

- 주로 몸의 한쪽으로만 조그만 물집 및 반점 

마치 데이고 난 뒤의 물집 또는 땀띠처럼 조그만 물집이나 반점 등이 생기게 됩니다. 수포와 발진은 점차 군집을 이루어 생기게 되며 며칠이 지나면 서로 섞여 혼탁하게 됩니다. 이러한 증상은 약 일주일 동안 지속됩니다.

 

- 합병증에 의한 후유증

천골신경을 침범한 경우에는 신경성 방광이 나타날 수 있으며, 삼차신경의 시각신경을 침범한 경우에는 안구 대상포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타, 안면마비, 안구진탕증, 호전후에도 이어지는 신경성 통증, 불면증, 우울증, 불안증세, 체중감소, 만성피로 등의 후유증 또는 합병증을 야기하기도 합니다.

 

3. 대상포진의 치료 및 예방

대상포진의 치료는 선결조건으로 대상포진이라는 정확한 진단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임상관찰과 수포액 검사 및 혈청검사 등을 통해 대상포진을 확진할 수 있습니다.

치료는 아시클로버, 팜시클로버 등의 항바이러스제 투여와 안정 및 휴식을 병행해야 합니다. 피부발진으로 인한 수포가 심할 경우에는 과망간산액의 습포를 시행하여 동통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기타, 증세에 따라 항우울제나 신경이완제, 신경차단제 등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대상포진의 예방하기 위해서는 면역력의 향상에 도움이 되는 음식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비타민 C가 풍부한 과일과 야채 등등 충분히 섭취하고 평소 충분한 휴식을 통해 무리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대상포진의 주요 발생 시기가 7~8월의 여름인 것을 보더라도 더위로 인해 몸의 밸런스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몸을 혹사시키면 급격하게 면력역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잠복기에 있던 수두균을 깨어나게 할 수 있으므로 무더운 여름철에 몸을 혹사하는 것은 절대 금물입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